맨위로가기

후설 원순 중저모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설 원순 중저모음은 혀의 뒷부분을 중간 정도로 낮추고 입술을 둥글게 하여 발음하는 모음이다. 한국어에는 이 음소가 존재하지 않으며, 표준어에서는 'ㅗ'로 표기된다. 일부 방언에서는 'ㅓ'와 'ㅗ'의 중간 발음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음 - 중설 모음
    중설 모음은 혀의 위치가 입의 중앙에 위치하여 발음되는 모음으로, 혀의 높이, 앞뒤 위치, 입술의 둥글림 여부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된다.
  • 모음 - 비모음
    비음화는 모음 발음 시 비강 공명이 더해지는 음운 현상으로, 모음 높이에 영향을 주며 언어에 따라 적용 범위와 정도가 다르고, 프랑스어 비음 모음의 발달 과정은 구강 모음과 비음 자음 결합 후 비음 자음 탈락으로 설명되며,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되고 한국어에서는 외국어 표기에 'ㅇ' 받침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예외도 있다.
후설 원순 중저모음
음성학 정보
IPA 기호ɔ
IPA 번호306
유니코드 십진수596
X-SAMPAO
IPA Unicode 0x0254.svg
IPA 유니코드 0x0254.svg
브라유 점자gh
발음 예시 (영어)
발음


예시 단어




참고 문헌

발음 예시 (영어 LOT)
발음 예시 (스웨덴어)

2. 음성학적 특징


  • 혀의 최고점 위치가 혀의 뒷부분에 있는 후설 모음이다.
  • 혀의 높이가 중모음과 저모음의 사이에 있는 중저모음이다.
  • 입술을 둥글게 오므려 발음하는 원순 모음이다.

2. 1. 원순성

입술을 둥글게 오므려 발음하는 원순 모음이다.

3. 한국어에서의 등장

한국어에는 원순 중저모음 [ɔ]가 음소로서 존재하지 않는다. 표준어에서는 'ㅗ'(/o/)로 표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4. 언어별 예시

스코틀랜드 영어, 미국 영어에서 'thought'(생각)는 IPA로 [θɔːt]와 같이 발음되며, 영국 영어의 용인 발음, 오스트레일리아 영어, 뉴질랜드 영어에서 'not'(아니다)는 [nɔt]와 같이 발음된다.[1] 표준 독일어에서 'voll'(가득 찬)은 [fɔl], 표준 스웨덴어에서 'moll'(단음계)는 [mɔl:]로 발음된다.[1]

이 외에도 알바니아어, 아르메니아어, 벵골어, 카탈루냐어, 광둥어, 이탈리아어, 폴란드어, 포르투갈어, 우크라이나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원순 중저모음이 나타난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참조)

4. 1. 영어

'''스코틀랜드 영어''', '''미국 영어'''에서는 'thought'(생각)를 IPA로 [θɔːt]와 같이 발음한다.[1] '''영국 영어'''의 용인 발음, '''오스트레일리아 영어''', '''뉴질랜드 영어'''에서는 'not'(아니다)를 [nɔt]와 같이 발음한다.[1] 영어 'audience'(청중)도 [ɔːdɪəns]와 같이 발음한다.[2]

언어철자발음
스코틀랜드 영어, 미국 영어thought[θɔːt]생각
영국 영어의 용인 발음, 오스트레일리아 영어, 뉴질랜드 영어not[nɔt]아니다
영어audience[ɔːdɪəns]청중


4. 2. 독일어

표준 독일어: v'''o'''ll voll|폴de '(가득) 찬'[1]

4. 3. 프랑스어

프랑스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단어IPA
sotte[sɔt]어리석은 (여성)


4. 4. 기타 언어

언어철자발음
알바니아어tortë[ˈtɔɾtə]케이크
아르메니아어հողմ (hoġm)[hɔʁm]폭풍
벵골어অর্থ (ortho)[ɔrt̪ʰɔ]의미
카탈루냐어soc[ˈsɔk]막다
광둥어我 (ngo)[ŋɔː˩˧]나, 나를, 나의
이탈리아어parola[päˈrɔ̟ːlä]단어
폴란드어kot[kɔt̪]고양이
포르투갈어fofoca[fɔˈfɔ̞kɐ]가십
우크라이나어моваuk[ˈmɔʋɐ]언어
스웨덴어moll[mɔlː]단음계


참조

[1] 문서
[2] 간행물
[3] 뉴스 Morgen — a suitable case for treatment http://englishspeech[...]
[4] 간행물
[5] 간행물
[6] 간행물
[7] 간행물
[8] 간행물
[9] 간행물
[10] 간행물
[11] 서적 Traité de prononciation du breton du Nord-Ouest à l’usage des bretonnants Emgleo Breiz
[12] 간행물
[13] 간행물
[14] 간행물
[15] 간행물
[16] 간행물
[17] 간행물
[18] 간행물
[19] 간행물
[20] 간행물
[21] 간행물
[22] 간행물
[23] 간행물
[24] 간행물
[25] 간행물
[26] 간행물
[27] 간행물
[28] 간행물
[29] 간행물
[30] 간행물
[31] 간행물
[32] 간행물
[33] 간행물
[34] 간행물
[35] 간행물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Wörterbuch der niederdeutschen Mundart der Fürstenthümer Göttingen und Grubenhagen oder GöttingischGrubenhagen'sches Idiotikon
[39] 서적
[40] 논문 Spoken and sung vowels produced by bilingual Nepali speakers: A brief comparison
[41] 논문 Experimental analysis of Nepali sound system University of Pune, India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웹사이트 Variação inter- e intra-dialetal no português brasileiro: um problema para a teoria fonológica – Seung-Hwa LEE & Marco A. de Oliveira http://www.pucminas.[...] 2014-12-15
[46] 웹사이트 Lista das marcas dialetais e ouros fenómenos de variação (fonética e fonológica) identificados nas amostras do Arquivo Dialetal do CLUP http://cl.up.pt/arqu[...]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